블루팡이의 이런저런 소중한 이야기

Global Life & Economy Archive

Slow and steady wins the race

즐거운생활/소소한 여행, 특별한 맛

[수원 가을 여행] 도심 속 천년고찰 봉녕사, 단풍 명소에서 비구니 사찰의 고즈넉함을 만나다!

ohara 2025. 11. 1. 18:59
반응형

가을 단풍이 물든 도심 속 천년고찰, 수원 봉녕사에서 만난 평온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춤이 필요할 때, 저는 가끔 고즈넉한 사찰을 찾곤 합니다. 이번 주말에는 우연히 수원 도심 속에 숨겨진 보석 같은 사찰, 바로 봉녕사(奉寧寺)를 다녀왔는데요. 기대 이상의 아름다운 가을 풍경과 사찰의 깊은 역사에 푹 빠져들었던 시간이었습니다.

 


도심 속 푸른 숲, 봉녕사의 첫인상

 

수원 도심 한가운데, 이렇게 큰 사찰이 있을 줄은 상상도 못 했습니다. 봉녕사에 도착하자마자 가장 먼저 저를 맞이한 것은 고층 빌딩 숲과 대비되는 푸른 자연과 고요함이었습니다. 울창한 숲길을 따라 경내로 들어서니, 어느새 가을이 내려앉아 곱게 물든 단풍잎들이 황홀한 풍경을 자아내고 있었습니다. 붉고 노란 나뭇잎들이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은 마치 한 폭의 그림 같았어요.

도심 속 소음은 사라지고, 오직 새소리와 바람 소리만이 가득한 공간. 봉녕사는 바쁜 도시 생활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잠시나마 평온을 선물하는 안식처와 같았습니다. 곳곳에 자리한 아기자기한 연못과 정원도 사찰의 아름다움을 더해주었죠.


봉녕사, 비구니 스님들의 수행 도량 그리고 천년의 역사

 

봉녕사는 규모가 큰 사찰을 넘어, 특별한 의미를 지닌 곳입니다. 바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인 흥룡사의 말사이자, 한국 비구니(여승) 스님들의 전문 강원(승가대학)으로 유명한 사찰이기 때문입니다. 전국 비구니 스님 중 약 70%가 이곳 봉녕사 강원에서 수학했을 정도로, 비구니 교육의 요람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봉녕사의 역사는 무려 고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 창건 (고려 시대): 1208년(희종 4년) 원각국사(圓覺國師)가 창건하고 '성창사(聖昌寺)'라 불렀다고 전해집니다. 당시에는 주로 남성 스님들이 수행하던 곳이었을 것입니다.
  • 조선 시대: 조선 태종 때 태종의 셋째 딸인 경정옹주가 중수하면서 '봉녕사'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고 합니다. '봉녕'은 '경사스럽고 평안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후에도 왕실과 인연이 깊어, 효녕대군(세종대왕의 형)의 원찰(왕실의 명복을 빌던 절)로도 사용되었습니다.
  • 근현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한때 퇴락했지만, 1970년대 이후 비구니 스님들이 중심이 되어 다시 활발하게 중창되면서 비구니 강원으로 크게 성장했습니다. 현재는 대웅전, 약사전, 금색전 등 여러 전각과 아름다운 정원, 그리고 스님들의 수행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처럼 봉녕사는 천 년이 넘는 시간 동안 역사의 숨결을 간직하고 있으며, 현재는 여성 수행자들의 정신적 지주이자 한국 불교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깊이 있는 사찰입니다. 


봉녕사에서 느낀 평화와 힐링

 

단풍이 절정을 이룬 가을날, 봉녕사의 고즈넉한 풍경 속을 거닐며 저는 큰 위안을 얻었습니다.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천년의 역사를 품고 비구니 스님들의 수행이 이어지는 곳. 평화로운 분위기 속에서 잠시 명상에 잠기거나, 그저 고요함을 즐기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힐링이 되었습니다.

 

반응형